By continuing to use the website or clicking Accept you consent to our cookies and personal data policy and confirm that you are at least 18 year old. For details please see Privacy Policy and Terms
191202 [월요일]
따뜻한 물의 어두운 곳에서 약 18시간 침지
1) Cookies Chill : 15립
2) Pink Kush : 15립
3) Doctor Seedman : 15립
191203 [화요일]
페이퍼타월 이관
191204 [수요일]
파종한 것들 지피 펠렛에 이관
라이트 14시간
191209 [월요일]
코코피트와 배합토의 비율 테스트를 함.
3개의 그룹으로 나눔.
배합토: 코코피트
1. 8:2
2. 6:4
3. 4:6
191210 [화요일]
45개중 44개 발아 성공
발아 실패한 종자 1개는 지피 펠렛에 종자를 너무 깊이 넣음.
191220[금요일]
Pink Kush : 전반적으로 줄기 생장 속도 비슷 (6cm~6.5cm)
Cookie chill : 코코 60%(8cm)가 생장이 가장 좋고 상대적으로 20%(6.5cm)는 더딤. 하지만 다른 종자와 비교했을 때는 평균치. 종자 자체의 생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Doctor Seedman : Pink Kush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조금 더 큼(모두 평균 7cm) 하지만 코코피트 비율의 영향은 크게 보이지 않음
3갤런 화분에 이관했으나 1갤런 만큼의 상토만 넣었음 (코코 피트 부족으로 인해)
그나마 성과가 좋은 상토: 코코피트=4:6 으로 전체 44주를 맞춤.
이관을 한 후에 topping을 해주고, 잘려진 것은 지퍼백에 밀봉하여 보관함.
중국산 LED의 경우 PPFD가 30cm 거리에서 1700정도 나오지만, 자사 LED는 30cm 거리에서 600 ppfd가 나옴.
20200107 [화요일]
1. 배수 시스템을 만들어 텐트 밖으로 배액이 빠져나오게 함. 하부 과습 방지를 위해 육묘용 트레이를 잘라 부직포 화분을 상부로 살짝 띄워놓음.
2. 클론 중 하나가 이관하면서 죽은 것으로 보임. (만나 상토)
3. PINK KUSH에서 개화가 진행됨. (환경 조건인듯함)
4. 광량 측정 시행함.
Tent 1: 400 PPFD
Tent 2: 650 PPFD
Tent 3: 300 PPFD
20200108 [수요일]
1. 배수 시스템을 만들고 1.5리터씩 급액함. 수위 차에 의해 배액이 됨.
20200110 [금요일]
1. 전반적인 작물 평균 키가 36CM 정도 됨.
2. 순환팬 장기 작동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공급 중단.
[20200113 월요일]
1. 생육 차이가 품종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무규칙 적으로 차이가 남. 이것은 생육 환경의 미세한 차이가 초반에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이해가 됨. 생육 차이별로 재배치를 해야할 것으로 보임.
2. 과습의 문제가 있어 처져있던 작물이 다시 올라옴. 반대로 건조 문제가 있는 것들은 다시 처지고 토양이 매우 건조한 상태로 손으로 1.5리터 급액함. 동시에 드리퍼가 꽂혀있지 않은 클론들 또한 양액 1.5리터 급액함.
3. 이산화탄소 재공급 시작함.
4. 현재 작물이 받는 광량을 재측정함. (라이트 위치 조정 후)
No.1-1000 PPFD
No.2- 1400 PPFD
No.3- 600 PPFD
[20200114 화요일]
1. 환경 설정에 대한 로직을 몇 차례 바꾼 결과 안정적인 환경 조성에 근접함.
2. 상토를 11리터까지 전부 다 채움과 동시에 크기별로 배치함.
크기를 최대한 고르게 맞추기 위해 아래와 같이 배치함.
No.1-1000 PPFD- 중간 사이즈(38cm)
No.2- 1400 PPFD- 작은 사이즈(28cm)
No.3- 600 PPFD- 큰 사이즈 (47cm)
3. 제염하지 않은 것들도 잘 크고 있어 피트모스 제염을 하지 않고 바로 써도 될 듯함.
4. 바이러스로 의심되는 잎들을 가진 작물 2개가 있어 4번 텐트로 격리시킴
5. 이관 도중 가지하나가 부러져 삽목을 시도함.
[20200115 수요일]
어제 16:00에 급액을 하고 나서 작물들이 축 처져있는 것을 확인.
조금더 지켜봐야 할 것 같음
[20200117 금요일]
1. 전반적으로 작물들이 처져있다.
현재 양액 스케쥴은 화,목,토- 각 화분당 1.5리터 씩 들어감. (1회 급액 시 67~75리터 정도 들어감)
(다음 주 양액 스케쥴은 월, 수, 금으로 할 예정)
2. 결핍되었던 이온들이 다시 차오르는 것처럼 보임. 다음 주 까지 상황을 지켜봐야할 것으로 사료됨.
3. 삽목했던 클론들의 크기를 조사.
DAY60: 44CM
DAY50: 24CM
초반 생육 장애가 없는 환경에서 잘 키워내야 의미 있는 데이터를 보일 것으로 생각 되며, 현재 클로닝 재시도 중임.'
4. 각 텐트별 크기 조사
No.1-1000 PPFD- 중간 사이즈(40cm)
No.2- 1400 PPFD- 작은 사이즈(32cm)
No.3- 600 PPFD- 큰 사이즈 (48cm)
[20200120-월요일]
1. 텐트 별 작물 크기
No.1-45cm
No.2-40cm
No.3-53cm
2. 이산화탄소를 거의 다 소모 한것으로 판단됨.
3. Day 53 clone- 33cm
Day 63 clone - 48cm
4. 일부 작물들에서 잎이 휘는 현상이 보임.
5. 결핍 증상을 보여 General Hydroponics 양액으로 일주일 Vegetation 진행할 예정. 붕소 결핍으로 추정됨.
6. 개화기에 돌입한 Pink kush도 크기 성장을 하고 있는것으로 판단 됨. (현재 크기: 48cm)
[20200122-수요일]
1. 텐트 별 작물 크기
No.1-47cm
No.2-41cm
No.3-57cm
2. 환기팬 작동 시간의 증가로 이산화탄소 공급 중단.
3. Day 55 clone- 34cm
Day 65 clone - 50cm
4. 텐트 3호 8개의 화분을 Defoliation 함.
5. Defoliation 도중 나오는 Clone 후보들을 모아 cloning을 시도함.
추가)
Seedman(5pc), Cookie chill(4pc)
기존)
Cookie chill(1pc)
[20200128-화요일]
1. 각 텐트 크기
No.1 65cm
No.2 47cm
No.3 55cm
2. Pink kush는 45~48cm 정도를 보이며 개화에 들어간 이상 크기 성장을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pink kush만 따로 2번 텐트에 배치함.
3. Pink kush와 no.3에 들어갈 키가 큰 작물들을 모두 defoliation 함. 잘라낸 잎들은 모두 지퍼백에 밀봉하여 보관
[20200129-수요일]
1. 1월 14일 생 클론이 발근 된 것을 확인하고 2020-01-28에 클론을 돔에서 꺼내어 라이트에 놔두었으나 그다음 말라 비틀어짐. (지피 펠렛은 완전히 젖어있는 상태였음)
환경 부적응으로 보임. 라이트 밑이 아니라 습도 70%정도 되는 곳에서 약한 라이트 밑에 있었어야 할 것으로 보임. 라이트 밑에 놔두는 것은 육묘 이관을 한 후에 해야할 것으로 사료됨.
[20200130-목요일]
1. 클로닝 돔을 하루 열어 놓으니 바로 시들어짐.
[20200131-금요일]
1. 돔을 닫으니 바로 다시 돌아옴.
2. 1번 텐트 Defoliation을 실시함. 잘라낸 잎들은 전부 지퍼백에 밀봉하여 보관함.
[20200201-토요일]
1. 라이트 스케쥴을 12시간 on, 12시간 off로 변경함. (16:00~04:00)
2. 양액 또한 개화 전환용 양액으로 변경함.
3. 1/31에 Defoliation 하면서 나온 것들을 클로닝 실시함.
돔 트레이: Seedsman-1ea, Cookie chill- 4ea
DWC type: 8ea
[20200203-월요일]
1. 텐트 별 작물 크기
NO.1-56cm
NO.2-46cm
NO.3-75cm
2. 클로닝
1/20 Defoliation을 진행하면서 나온 것들 중 클로닝 진행한 것 11개 중 6개가 완전하게 뿌리가 나옴.
(Cookie chill-2ea, Seedsman-4ea. 상토 비율은 똑같이 COCO PEAT-60%, MANNA SOIL-40%)
지피 포트로 이관한 후에 습도 75%의 환경에 놓아둠.
02/05 오전에 육묘 이관할 예정.